다래끼도 한번 나면 완전 고생이죠.. 다래끼로 고생하시는 분들을 위해 다래끼 빨리 낫는법, 예방법, 자연 치유기간, 자주나는 이유등을 쉽게 정리해드릴테니 같이 한번 보고 가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Table of Contents
다래끼 종류
다래끼는 의학용어로 맥립종이라고 불리며 눈다래끼, 콩다래끼로 나뉘며 이 중 눈다래끼는 내부와 외부로 또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한쪽만 생길 수도 있고 두 쪽 다 생길 수 있습니다.
눈다래끼(내부,외부)
외부 다래끼는 속눈썹의 뿌리(모낭)가 감염되어 발생되고, 내부다래끼는 눈꺼풀 안의 기름샘 중 하나가 감염되어 발생됩니다.
공통적인 증상으로 눈 안쪽이나 빠깥쪽에 뾰루지가 생기게 됩니다. 보통 몇 주 안으로 사라집니다.
증상
- 이물감
- 눈물 나옴
- 빛에 대한 민감도 증가
- 눈꺼풀부종
- 빨개짐
- 고름
- 눈꺼풀통증
콩다래끼
콩다래끼는 콩과 같은 알맹이가 눈에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눈다래끼와 달리 보통 통증은 없습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종
- 시력저하(콩다래끼에 의해 각막이 눌려 발생)
다래끼 나는 이유, 자주 나는 이유
- 눈화장을 지우지 않고 잘 시
- 씻지 않은 손으로 눈을 만지거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
- 유통기한이 지난 화장품 사용
- 안검염(눈꺼풀 가장자리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을 앓고 있을 시
-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을 때
- 당뇨병환자
- 피부가 건조할 때
- 전에 다래끼를 앓았을 때
- 비듬, 지루성피부염등이 있을 때
다래끼 빨리 낫는 법, 예방
-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연고 사용
- 해당부위가 치료될 때까지 눈 주변에 자극 피하기 (콘택트렌즈, 눈 화장등)
- 따뜻한 수건, 온습포로 모공열기(모공을 여는 것은 더 빠른 치유를 돕습니다, 3~6회/일, 5~10분/회
- 증상이 심할 경우 항생제연고, 안약 처방받기, 항생제 알약 또는 스테로이드 약물 주사, 수술(다래끼를 작게 절게 해 고름을 빼는 것이 일반적)
- 눈비비기 금지
- 먼지, 공기가 오염된 곳은 되도록 가지 않는 것이 좋으며 필요시 보안경 착용
- 염증이나 감염이 있을 시 빠르게 항생제를 처방받아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 방지
- 마스카라는 6개월마다 교체하기 (마스카라에 박테리아가 번식해 눈에 다래끼를 유발할 수 있음)
- 화장품 공유하지 않고, 눈화장 잘 지우고 자기
- 안검염,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등 기저 질환 치료하기
- 혼자서 고름 터뜨리지 않기(더 번질 수 있음)
- 순한 비눗물, 베이비 샴푸 비눗물, 약국에 파는 눈꺼풀 티슈를 이용하여 눈꺼풀을 부드럽게 씻기
다래끼 자연 치유 기간
자연 치유가 되는 데는 보통 1~2주가 소요됩니다.
전염성 있을까?
전염성은 없지만 가족 중에 다래끼가 있을 시 박테리아가 퍼질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손, 베갯잇을 씻는 것을 생활화해야 합니다.
다래끼 수술 비용 및 건강 보험
다래끼 질환은 건강 보험 적용이 되며 평균 2~3만원 내외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리
다래끼는 두 종류!
눈다래끼, 콩다래끼 여기서 눈다래끼는 외부, 내부로 나뉩니다!
눈다래끼의 증상의 경우 눈꺼풀에 부종과 통증이 일어나고 고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콩다래끼는 통증이 없고, 콩알처럼 튀어나온 무언가가 있습니다.
다래끼는 화장을 지우지 않고 자거나, 당뇨병, 안검염등을 앓고 있을 때, 전에 다래끼를 앓았을 때 등에 발병하거나, 다시 발병할 확률이 큽니다.
다래끼를 예방하고 빨리 낫기 위해서는 증상에 따라 연고사용, 항생제 사용을 하고 매일 온습포를 하고 나을 때까지는 콘택트렌즈, 눈화장을 삼가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수칙들을 잘 지킬 시 자연적으로 1~2주면 증상이 많이 호전될 것입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시력에 좋은 당근주스 효능 6가지 및 부작용 궁금하다면?
참조
((https://stanfordhealthcare.org/medical-conditions/eyes-and-vision/chalazion-stye.html))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sty/symptoms-causes/syc-20378017))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7658-st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