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성장 보충제 크레아틴 효능 3가지 및 부작용

운동하는 사람이면 크레아틴은 참기 힘들죠. 그 만큼 근성장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데요 하지만 과다복용시 일어나는 부작용도 알고 계셔야합니다. 이 글에서는 크레아틴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해 쉽게 정리하여 여러분들의 소중한 시간 아껴드리겠습니다.

크레아틴 효능 3가지 및 부작용

운동 강도 증가

고기와 생선류안에 들어 있는 자연 발생 물질인데요, 췌장, 신장에서 생산이 되기도 하는 크레아틴은 근육 안 ‘크레아틴인산‘의 저장량을 증가시키는데요, 이 물질은 인체 내 주요 에너지 운반체인 ‘아데노신 삼인산(ATP)’를 재생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물질입니다.

단거리 달리기나, 고강도 무게 훈련 중 우리 몸은 운동에 쓸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ATP가 분해 시켜야만 하는데요, 감소되는 속도가 생성되는 속도보다 빠르기에 우리는 운동을 끊임없이 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 성분을 섭취하면 크레아틴인산이 ATP분해를 도와 운동에 쓸 에너지를 추가공급함으로서 근육에 연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높은 강도로 더 오랜 시간 운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셈입니다.

근성장 도움

크레아틴은 또한 새로운 근섬유를 생성하는 단백질 형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근육량 증가를 촉진하는데 기여하는 호르몬인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IGF-1)의 수치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하죠.

다음의 연구는 엘리트 축구 훈련, 무산소 운동(헬스도 포함), 카누 훈련 같은 여러 가지 운동방법에서 크레아틴을 보충하도록 하였습니다.

그 결과 모든 종류의 운동에서 이 성분의 보충 섭취는 근육 성능 및 근육을 얻는데 효과적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1

신경계 질환에 도움이 될 가능성

여러가지 신경계 질환이 초래되는 이유의 대부분은 뇌 안의 크레아틴인산수치가 감소하기 때문인데요, 크레아틴섭취시 크레아틴인산의 수치를 높이기 때문에 질병을 늦추는데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 동물연구에 따르면 이 성분을 섭취 시 뇌 또는 척수손상, 뇌전증, 허혈성 뇌졸중, 알츠하이머병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습니다.

한 의학자의 말에 따르면 크레아틴 연구가 인간대상으로 더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하는 것을 사실이지만 크레아틴이 기존의약품과 함께 시너지를 발휘한다면 신경계 질환을 방어할 수 있다고 합니다.

크레아틴 부작용

배탈, 설사, 현기증, 고혈압, 간 기능 장애등이 유발될 수 있으며 고용량으로 장기간 복용시 신장 손상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장 질환, 간 질환, 고혈압이 있으신 분은 크레아틴을 복용하시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크레아틴 권장 복용법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크레아틴은 하루5g 으로 50%는 체내에서 생성이 되기 때문에 50%만 외부섭취를 하면 되는데요, 보통 3~5g을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인 양입니다.

전문적인 운동 선수거나, 헬스를 즐겨하시면 운동 후 5g을 드신 후 불편함을 느끼면 3g까지 줄이시면 되지만, 다른 건강목적으로 드신다면 평소 시간이 날 때 3g이내로 드시면 되겠습니다.

마치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크레아틴은 근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밝혀져 있으며, 그 부작용 또한 일부에 달하기 때문에 권장량을 섭취하신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크레아틴은 고강도운동시 운동을 더 오래 할 수 있게 하고, 근육량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동물에 대한 연구에서 알츠하이머 병, 뇌졸중, 뇌전증, 척수손상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크레아틴의 부작용으로 현기증, 설사, 고혈압, 간 기능 장애등이 유발될 수 있으며 고용량으로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또한 고혈압, 간 질환 신장 질환을 가지셨을 경우 복용하시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도움이 될 만한 글

헬스 보충제 BCAA 부작용 2가지 당뇨환자

아르기닌 부작용 2가지 설사 저혈압

당뇨위험 살찌는 보충제 게이너 효능과 부작용 4가지

  1. Wu, S. H., Chen, K. L., Hsu, C., Chen, H. C., Chen, J. Y., Yu, S. Y., & Shiu, Y. J. (2022). Creatine supplementation for muscle growth: a scoping review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from 2012 to 2021. Nutrients, 14(6), 1255.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