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감자 효능 3가지 및 부작용 3가지

삶은 감자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들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혈압을 조절하고, 심장질환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 삶은 감자 효능 3가지 및 부작용 3가지를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삶은 감자 효능

삶은 감자 사진
삶은 감자 사진

혈압 조절

삶은 감자 안에는 혈압 조절로 유명한 미네랄인 칼륨이 있는데요, 이 성분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기 때문에 고혈압이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혈압에 좋은 차 5가지 및 부작용

심장건강

감자를 튀기지 않는 한 혈압을 낮추는 칼륨이 풍부하고, 심장질환을 낮추는 섬유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심장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풍부한 비타민 C

100g 감자 안에는 평균 36mg이 있는데요, 이는 사과의 6배에 달하는 풍부한 양의 비타민C를 가지고 있는데요, 비타민C는 전문가들도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영양소”라고 말할 정도입니다.

비타민C는 피부주름, 눈 질환, 태아 건강 문제, 심혈관 질환, 면역 체계 결핍등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삶은 감자 부작용

혈당 상승

감자는 탄수화물 덩어리인 전분으로 가득 차 있는데요, 이 전분은 몸에서 빠르게 분해가 되면서 혈액을 설탕으로 채우며 혈당을 빠르게 올리기 때문에 당뇨환자에게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다음의 연구는 감자를 섭취 시 식후 혈당 농도가 상승하여 베타세포기능장애또는 베타세포 고갈 및,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1

당뇨 걸리는 이유 9가지 및 해결법

알레르기 반응

다음의 연구는 조리된 감자에 대해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아토피 아동 8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하였는데요, 8명 중 2명은 즉각적인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으며, 8명중 6명은 습진이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식단에서 감자를 제거하자 증상이 사라졌습니다.

이처럼 흔하진 않지만 아주 특정 소수에게는 감자알레르기 반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으니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2

발암물질

감자와 같이 녹말이 풍부한 음식을 고온에서 조리하면 아크릴아마이드라는 암과 관련된 화학물질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 물질은 담배 안에도 들어 있는 물질인데요, 감자를 너무 익히거나, 과도하게 갈변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아크릴아마이드 형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나마 안심하셔도 될 것은 아크릴아마이드와 암의 상관관계는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만 밝혀졌고 이 수치는 사람이 노출되는양의 1000배~100,000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20년 동안 명확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마치며

감자 효능 3가지 및 부작용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자는 칼륨이 풍부해 고혈압 환자에게 도움이 되며, 심장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섬유질 또한 풍부합니다.

하지만 소수의 사람에게는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섭취 후 당을 빠르게 올리기 때문에 당뇨환자에게는 좋지 못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될 만한 글

메주콩 효능, 부작용, 맛있게 먹는 레시피 3가지

수박씨 먹어도 되나요? 효능, 부작용, 맛있게 먹는 법

  1. Zhang, Y., Dingyun, Y. O. U., Nanjia, L. U., Donghui, D. U. A. N., Xiaoqi, F. E. N. G., Astell-Burt, T., … & Zuquan, Z. O. U. (2018). Potatoes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7(11), 1627. []
  2. De Swert, L. F., Cadot, P., & Ceuppens, J. L. (2002). Allergy to cooked white potatoe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cause of severe, chronic allergic diseas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10(3), 524-529. []

Leave a Comment